무엇을
찾으시나요?
이런 키워드는 어떠세요?
#방수에이스 # 에포코트 # 아이럭스 # 아이생각 # 스피롤탄 # 월드스테인
PRODUCT14 Types
검색영역 닫기
VoL.5

Car Color Report

글로벌 자동차 컬러 트렌드
글로벌 자동차 컬러의 색조 변화
글로벌 자동차 컬러의 색조 변화

전 세계 자동차 컬러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주기가 짧아지고 소비자 취향이 다양해지는 가운데, 지역별로 선호 컬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RM의 제조사인 BASF Coatings(바스프 코팅스)는 EMEA, AMERICAS, APAC 등 주요 시장의 컬러 흐름을 분석해 최근 ‘자동차 OEM 컬러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BASF의 리포트를 토대로 자동차 컬러 트렌드의 지역별 차이를 조망하고 컬러 선호도 변화에 담긴 의미를 짚어봅니다.

글로벌자동차컬러1 글로벌자동차컬러1
글로벌자동차컬러2 글로벌자동차컬러2
글로벌 시장의 컬러 선호도 변화 글로벌 시장의 컬러 선호도 변화
global color trend
global color trend

2024년 이후, 소비자들의 선호 컬러가 화이트와 실버 같은 전통적 인기 컬러에서 벗어나면서, 자동차 컬러 트렌드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생동감 있는 컬러, 따뜻한 뉴트럴 계열, 그리고 더욱 다양한 컬러 팔레트의 인기를 높이는 기반이 되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global color trend slide1 global color trend slide1
global color trend slide2 global color trend slide3

전통적 인기 컬러인 화이트와 실버의 선호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화이트는 여전히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색상입니다. 한편, 블랙과 그레이 같은 무채색도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주목받고 있으며, 옐로와 베이지 등 따뜻한 계열 컬러도 점차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특히 그린은 모든 지역에서 선호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자동차 컬러가 더욱 생동감 있고 다채로운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컬러 수요 시장 진단 (BASF)

하나

무채색(블랙, 그레이, 실버, 화이트)과 유채색의 비율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입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1 자동차 바퀴
자동차 애니메이션2 자동차 바퀴

화이트는 시장 점유율이 다소 감소했음에도 2024년 경승용차 부문에서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컬러입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3 자동차 바퀴

블루는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선호도를 유지하며, 레드와 그린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4 자동차 바퀴

옐로는 시장 점유율이 두 배 증가했으며, 따뜻한 뉴트럴 색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역시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5 자동차 바퀴

GLOBAL COLOR OVERVIEW

GLOBAL COLOR OVERVIEW GLOBAL COLOR OVERVIEW
Black
22%
Beige
1%
Violet
1%
Gray
17%
Brown
1%
Blue
7%
Silver
8%
Orange
1%
Green
2%
White
34%
Red
4%
Yellow
1.5%
Gold
0.5%

글로벌 컬러별 수요 변화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Black
+ 1%
Gray
+ 2%
Yellow
+ 1%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Silver
– 1%
White
– 2%
Blue
– 1%
01 01

Americas(미주) 지역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미주 지역에서는 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성향에 따라, 다채롭고 정교한 컬러 선택이 더 주목받는 추세입니다. 그중에서도 그레이는 자동차 디자인에서 가장 다재다능하고 매력적인 컬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차가운 메탈릭 그레이부터 따뜻한 흙빛 톤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그레이는 세련된 깊이감과 현대적인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며, 예상외로 생동감 있는 분위기까지 연출할 수 있습니다.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1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1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2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2

2024년 색상 분포를 살피면, 그레이 계열 차량이 전체 시장 점유율의 약 20%를 차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입니다. 반면, 블랙은 2023년 대비 2%P 감소했고,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화이트 차량은 5%P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주 소비자들이 더 개성 있고 감각적인 색상으로 눈을 돌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의 화이트와
블랙을 벗어나,
다용도로 빛나는 그레이

– 빅토리아 피슬리지, BASF 코팅 수석 디자인 매니저 –

AMERICAS COLOR OVERVIEW

AMERICAS COLOR OVERVIEW AMERICAS COLOR OVERVIEW
Black
20%
Beige
1%
Blue
9%
Gray
20%
Red
7%
Green
2%
Silver
11%
Violet
1%
White
29%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Gray
+ 10%
Blue
+ 1%
Green
+ 1%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Black
– 2%
White
– 5%
Red
– 1%

2020 2020

trend flash trend flash

PLUS TIP PLUS TIP

BASF 디자이너들은 2020년, 자동차 컬러 트렌드로 이미 그레이의 진화를 예견했습니다. 그해 트렌드 컬러 컬렉션에서 미주 지역 대표 컬러로 소개된 다크 셀처(Dark Seltzer)는 기존 그레이의 한계를 넘어, 더 거친 질감과 상호보완적인 톤이 어우러진 역동적인 컬러 표현을 보여줬습니다. 다크 셀처는 그레이를 더욱 대담하고 세련되게 재해석하며, 동시에 기존 컬러 표준에 과감히 도전하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자동차
02 02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무채색의
꾸준한 증가

emea 지역
emea 지역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절제된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무채색 컬러의 인기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2021년 72%였던 시장 점유율은 2024년에는 80%에 달할 정도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뉴트럴 톤이 가진 안정감과 세련된 분위기가 유럽·중동·아프리카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emea 지역 slide1 emea 지역 slide1
emea 지역 slide2 emea 지역 slide2

가장 선호되는 컬러는 여전히 화이트이며, 그 뒤를 이어 그레이가 강세를 보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베이지가 빠르게 부상하며 주목받고 있는데, 시장 점유율이 거의 두 배 증가하면서 뉴트럴 컬러 팔레트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베이지와 뉴트럴 계열 컬러들은 차분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욕구를 반영합니다. 이렇듯 소비자들은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동시에, 시간의 흐름에도 흔들리지 않는 세련된 자동차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안정감을 원하는
소비자들,
베이지와 뉴트럴 컬러에
주목

– 마크 구트야르,
BASF 코팅 자동차 컬러 디자인 글로벌 책임자 –

EMEA COLOR OVERVIEW

emea COLOR OVERVIEW emea COLOR OVERVIEW
Black
20%
Beige
2%
Blue
9%
Gray
22%
Red
5%
Green
3%
Silver
11%
Yellow
1%
White
27%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Gray
+ 1%
Silver
+ 2%
Beige
+ 1%
Green
+ 1%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White
– 2%
Blue
– 2%
Orange
– 1%

2020 2020

trend flash trend flash

PLUS TIP PLUS TIP

BASF 디자이너들은 2020년, 이미 베이지가 자동차 컬러 트렌드로 부상할 것을 예견했습니다. 그해 트렌드 컬렉션에 소개된 대표 베이지 계열 컬러인 펀디츠 솔루션(Pundits Solution)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자동차 디자인이 시대를 초월한 우아함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세련미와 다용도성을 갖춘 중성적이면서도 따뜻한 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동차 자동차
03 03

APAC(아시아·태평양) 지역

무채색 강세 속
옐로의 도약

apac 지역
apac 지역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기술 수용도가 높고, 디자인에서의 조화와 실용성,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성향이 두드러집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무채색이 여전히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전체 소비자의 약 83%가 선택한 컬러군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가운데 블랙은 2%P 상승하며 고급스러움과 우아함을 상징하는 컬러로서의 입지를 더 강화했습니다. 반면, 화이트는 2%P 이상 하락하며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apac 지역 slide1 apac 지역 slide1
apac 지역 slide2 apac 지역 slide2

한편, 유채색, 특히 옐로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높아졌습니다. 2023년 1%에서 2024년 2%로 시장 점유율이 두 배 증가했으며, 그중에서도 파스텔 옐로나 그레이시 옐로 같은 부드럽고 세련된 색조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컬러 트렌드는 특히 전기차 디자인에서 강조되는 지속 가능성, 기술과 인간의 조화,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가치를 반영하며, 조화롭고 낙관적인 컬러 팔레트의 확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흙빛 톤과 파스텔 옐로는 단순한 색상의 선택을 넘어, 기능성과 친환경 가치, 그리고 자연과의 균형 있는 관계를 중시하는 오늘날의 디자인 철학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우아함의 상징인
블랙과
조화를 중시한
옐로의 지속적인 수요

– 치하루 마츠하라,
BASF 코팅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동차 컬러 디자인 책임자 –

APAC COLOR OVERVIEW

APAC COLOR OVERVIEW APAC COLOR OVERVIEW
Black
24%
Beige
1%
Violet
1%
Gray
15%
Brown
1%
Blue
5%
Silver
6%
Orange
1%
Green
2%
White
38%
Red
3%
Yellow
2%
Gold
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Black
+ 2%
Gray
+ 1%
Green
+ 1%
Yellow
+ 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White
– 2%
Silver
– 1%
Blue
– 1%

본 자료는 BASF GLOBAL의 자료를 참고하여 만든 집계입니다.
출처: BASF.COM / GLOBAL MEDIA NEWS

(https://www.basf.com/global/en/media/news-releases/2025/01/p-25-006?utm_source=chatgpt.com)

news news

새로워진 카로클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카로클 리브랜딩 로고

소비자 중심의 기술력 강화,
국내 및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국내외 자동차 신차 및 보수용 도료 시장에서 소비자 중심의 연구 개발과 고품질 도료 개발에 주력해 온 카로클(Karocle)이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새로운 투명 도료 라인업 ‘the 조은크리어’를 선보였습니다.
‘the 조은크리어’는 하이솔리드 타입의 2액형 우레탄 투명 도료로, 우수한 투명도와 외관 유지력을 통해 프리미엄 마감 품질을 제공합니다. 열처리 후에도 초기 도장 외관을 유지하며, 작업 후 가열 건조 시 퍼짐 현상이 적어 작업 안정성과 마감 퀄리티가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VOC 420g/ℓ 이하의 환경 규제 기준을 충족했으며, 작업 효율성까지 고려한 제품입니다. 좋은 품질과 미려한 마감 외관으로 경쟁력까지 갖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리브랜딩과 신제품 출시는 카로클의 브랜드 이미지 강화와 품질 혁신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the 조은크리어의 특별함
내핀홀성 강점
  • 비용 절감 비용 절감
    01 01

    비용 절감

    핀홀 발생 최소화로
    재작업 비용 절감

  • 높은 작업성 높은 작업성
    02 02

    높은 작업성

    여름철 도장 시
    내핀홀성으로 작업성 증가

  • 마감 퀄리티 마감 퀄리티
    03 03

    마감 퀄리티

    우수한 품질로
    미려한 외관 마감

카로클, 소비자 중심의
기술력 강화,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카로클 페인트 통 카로클 페인트 통

삼화페인트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다양한 정보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보러가기 btn-newsletter 뉴스레터 구독신청 btn-newsletter
VoL.5

Car Color Report

글로벌 자동차 컬러 트렌드
글로벌 자동차 컬러의 색조 변화
글로벌 자동차 컬러의 색조 변화

전 세계 자동차 컬러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주기가 짧아지고 소비자 취향이 다양해지는 가운데, 지역별로 선호 컬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RM의 제조사인 BASF Coatings(바스프 코팅스)는 EMEA, AMERICAS, APAC 등 주요 시장의 컬러 흐름을 분석해 최근 ‘자동차 OEM 컬러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BASF의 리포트를 토대로 자동차 컬러 트렌드의 지역별 차이를 조망하고 컬러 선호도 변화에 담긴 의미를 짚어봅니다.

글로벌자동차컬러1 글로벌자동차컬러1
글로벌자동차컬러2 글로벌자동차컬러2
글로벌 시장의 컬러 선호도 변화 글로벌 시장의 컬러 선호도 변화
global color trend
global color trend

2024년 이후, 소비자들의 선호 컬러가 화이트와 실버 같은 전통적 인기 컬러에서 벗어나면서, 자동차 컬러 트렌드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생동감 있는 컬러, 따뜻한 뉴트럴 계열, 그리고 더욱 다양한 컬러 팔레트의 인기를 높이는 기반이 되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global color trend slide1 global color trend slide1
global color trend slide2 global color trend slide3

전통적 인기 컬러인 화이트와 실버의 선호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화이트는 여전히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색상입니다. 한편, 블랙과 그레이 같은 무채색도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주목받고 있으며, 옐로와 베이지 등 따뜻한 계열 컬러도 점차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특히 그린은 모든 지역에서 선호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자동차 컬러가 더욱 생동감 있고 다채로운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컬러 수요 시장 진단 (BASF)

하나

무채색(블랙, 그레이, 실버, 화이트)과 유채색의 비율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입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1 자동차 바퀴
자동차 애니메이션2 자동차 바퀴

화이트는 시장 점유율이 다소 감소했음에도 2024년 경승용차 부문에서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컬러입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3 자동차 바퀴

블루는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선호도를 유지하며, 레드와 그린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4 자동차 바퀴

옐로는 시장 점유율이 두 배 증가했으며, 따뜻한 뉴트럴 색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역시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애니메이션5 자동차 바퀴

GLOBAL COLOR OVERVIEW

GLOBAL COLOR OVERVIEW GLOBAL COLOR OVERVIEW
Black
22%
Beige
1%
Violet
1%
Gray
17%
Brown
1%
Blue
7%
Silver
8%
Orange
1%
Green
2%
White
34%
Red
4%
Yellow
1.5%
Gold
0.5%

글로벌 컬러별 수요 변화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Black
+ 1%
Gray
+ 2%
Yellow
+ 1%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글로벌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Silver
– 1%
White
– 2%
Blue
– 1%
01 01

Americas(미주) 지역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미주 지역에서는 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성향에 따라, 다채롭고 정교한 컬러 선택이 더 주목받는 추세입니다. 그중에서도 그레이는 자동차 디자인에서 가장 다재다능하고 매력적인 컬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차가운 메탈릭 그레이부터 따뜻한 흙빛 톤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그레이는 세련된 깊이감과 현대적인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며, 예상외로 생동감 있는 분위기까지 연출할 수 있습니다.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1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1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2 그레이의 지속적 강세 slide2

2024년 색상 분포를 살피면, 그레이 계열 차량이 전체 시장 점유율의 약 20%를 차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입니다. 반면, 블랙은 2023년 대비 2%P 감소했고,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화이트 차량은 5%P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주 소비자들이 더 개성 있고 감각적인 색상으로 눈을 돌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의 화이트와
블랙을 벗어나,
다용도로 빛나는 그레이

– 빅토리아 피슬리지, BASF 코팅 수석 디자인 매니저 –

AMERICAS COLOR OVERVIEW

AMERICAS COLOR OVERVIEW AMERICAS COLOR OVERVIEW
Black
20%
Beige
1%
Blue
9%
Gray
20%
Red
7%
Green
2%
Silver
11%
Violet
1%
White
29%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Gray
+ 10%
Blue
+ 1%
Green
+ 1%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미주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Black
– 2%
White
– 5%
Red
– 1%

2020 2020

trend flash trend flash

PLUS TIP PLUS TIP

BASF 디자이너들은 2020년, 자동차 컬러 트렌드로 이미 그레이의 진화를 예견했습니다. 그해 트렌드 컬러 컬렉션에서 미주 지역 대표 컬러로 소개된 다크 셀처(Dark Seltzer)는 기존 그레이의 한계를 넘어, 더 거친 질감과 상호보완적인 톤이 어우러진 역동적인 컬러 표현을 보여줬습니다. 다크 셀처는 그레이를 더욱 대담하고 세련되게 재해석하며, 동시에 기존 컬러 표준에 과감히 도전하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자동차
02 02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무채색의
꾸준한 증가

emea 지역
emea 지역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절제된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무채색 컬러의 인기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2021년 72%였던 시장 점유율은 2024년에는 80%에 달할 정도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뉴트럴 톤이 가진 안정감과 세련된 분위기가 유럽·중동·아프리카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emea 지역 slide1 emea 지역 slide1
emea 지역 slide2 emea 지역 slide2

가장 선호되는 컬러는 여전히 화이트이며, 그 뒤를 이어 그레이가 강세를 보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베이지가 빠르게 부상하며 주목받고 있는데, 시장 점유율이 거의 두 배 증가하면서 뉴트럴 컬러 팔레트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베이지와 뉴트럴 계열 컬러들은 차분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욕구를 반영합니다. 이렇듯 소비자들은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동시에, 시간의 흐름에도 흔들리지 않는 세련된 자동차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안정감을 원하는
소비자들,
베이지와 뉴트럴 컬러에
주목

– 마크 구트야르,
BASF 코팅 자동차 컬러 디자인 글로벌 책임자 –

EMEA COLOR OVERVIEW

emea COLOR OVERVIEW emea COLOR OVERVIEW
Black
20%
Beige
2%
Blue
9%
Gray
22%
Red
5%
Green
3%
Silver
11%
Yellow
1%
White
27%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Gray
+ 1%
Silver
+ 2%
Beige
+ 1%
Green
+ 1%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EMEA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White
– 2%
Blue
– 2%
Orange
– 1%

2020 2020

trend flash trend flash

PLUS TIP PLUS TIP

BASF 디자이너들은 2020년, 이미 베이지가 자동차 컬러 트렌드로 부상할 것을 예견했습니다. 그해 트렌드 컬렉션에 소개된 대표 베이지 계열 컬러인 펀디츠 솔루션(Pundits Solution)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자동차 디자인이 시대를 초월한 우아함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세련미와 다용도성을 갖춘 중성적이면서도 따뜻한 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동차 자동차
03 03

APAC(아시아·태평양) 지역

무채색 강세 속
옐로의 도약

apac 지역
apac 지역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기술 수용도가 높고, 디자인에서의 조화와 실용성,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성향이 두드러집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무채색이 여전히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전체 소비자의 약 83%가 선택한 컬러군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가운데 블랙은 2%P 상승하며 고급스러움과 우아함을 상징하는 컬러로서의 입지를 더 강화했습니다. 반면, 화이트는 2%P 이상 하락하며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apac 지역 slide1 apac 지역 slide1
apac 지역 slide2 apac 지역 slide2

한편, 유채색, 특히 옐로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높아졌습니다. 2023년 1%에서 2024년 2%로 시장 점유율이 두 배 증가했으며, 그중에서도 파스텔 옐로나 그레이시 옐로 같은 부드럽고 세련된 색조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컬러 트렌드는 특히 전기차 디자인에서 강조되는 지속 가능성, 기술과 인간의 조화,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가치를 반영하며, 조화롭고 낙관적인 컬러 팔레트의 확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흙빛 톤과 파스텔 옐로는 단순한 색상의 선택을 넘어, 기능성과 친환경 가치, 그리고 자연과의 균형 있는 관계를 중시하는 오늘날의 디자인 철학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우아함의 상징인
블랙과
조화를 중시한
옐로의 지속적인 수요

– 치하루 마츠하라,
BASF 코팅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동차 컬러 디자인 책임자 –

APAC COLOR OVERVIEW

APAC COLOR OVERVIEW APAC COLOR OVERVIEW
Black
24%
Beige
1%
Violet
1%
Gray
15%
Brown
1%
Blue
5%
Silver
6%
Orange
1%
Green
2%
White
38%
Red
3%
Yellow
2%
Gold
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1
Black
+ 2%
Gray
+ 1%
Green
+ 1%
Yellow
+ 1%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APAC 지역 컬러별 수요 변화2
White
– 2%
Silver
– 1%
Blue
– 1%

본 자료는 BASF GLOBAL의 자료를 참고하여 만든 집계입니다.
출처: BASF.COM / GLOBAL MEDIA NEWS

(https://www.basf.com/global/en/media/news-releases/2025/01/p-25-006?utm_source=chatgpt.com)

news news

새로워진 카로클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리브랜딩과 함께 프리미엄 신제품 공개

카로클 리브랜딩 로고

소비자 중심의 기술력 강화,
국내 및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국내외 자동차 신차 및 보수용 도료 시장에서 소비자 중심의 연구 개발과 고품질 도료 개발에 주력해 온 카로클(Karocle)이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새로운 투명 도료 라인업 ‘the 조은크리어’를 선보였습니다.
‘the 조은크리어’는 하이솔리드 타입의 2액형 우레탄 투명 도료로, 우수한 투명도와 외관 유지력을 통해 프리미엄 마감 품질을 제공합니다. 열처리 후에도 초기 도장 외관을 유지하며, 작업 후 가열 건조 시 퍼짐 현상이 적어 작업 안정성과 마감 퀄리티가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VOC 420g/ℓ 이하의 환경 규제 기준을 충족했으며, 작업 효율성까지 고려한 제품입니다. 좋은 품질과 미려한 마감 외관으로 경쟁력까지 갖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리브랜딩과 신제품 출시는 카로클의 브랜드 이미지 강화와 품질 혁신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the 조은크리어의 특별함
내핀홀성 강점
  • 비용 절감 비용 절감
    01 01

    비용 절감

    핀홀 발생 최소화로
    재작업 비용 절감

  • 높은 작업성 높은 작업성
    02 02

    높은 작업성

    여름철 도장 시
    내핀홀성으로 작업성 증가

  • 마감 퀄리티 마감 퀄리티
    03 03

    마감 퀄리티

    우수한 품질로
    미려한 외관 마감

카로클, 소비자 중심의
기술력 강화,
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카로클 페인트 통 카로클 페인트 통

삼화페인트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다양한 정보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보러가기 btn-newsletter 뉴스레터 구독신청 btn-newsletter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